A Nuremberg for Guantanamo




By Guénaël Mettraux
Published: August 19, 2009


AT the end of World War II, the Allied powers found themselves in charge of thousands of captured enemies, many of whom had committed unspeakable crimes. Some among the victors thought that the prisoners should simply be shot. Others, including many in the American government, steadfastly insisted that these men should be subjected to criminal proceedings. Thus the Nuremberg trials were born, tribunals that meted out justice for some of the 20th century’s worst atrocities while demonstrating the return of the rule of law on the European continent and the superiority of democratic values over Fascist lunacies.


The Guantánamo detainees pose a similar conundrum today. Trying these men stateside would necessarily require the compromise of long-cherished principles of American law. Yet continuing to hold them without the prospect of a fair trial or delivering them to undemocratic governments are alternatives not worthy of the Obama administration or of the United States.


America’s own endeavors at Nuremberg offer a way out of this impasse: an international tribunal for detainees. Such a tribunal would allow the Obama administration to finally try these individuals and close down Guantánamo — and it would bring the nation back within the tradition of law and justice that it so forcefully defended six decades ago.


We need not look as far back as Nuremberg. Recent international tribunals for Sierra Leone, Cambodia and Yugoslavia have provided fair trials in challenging political environments to men and women accused of the gravest of crimes. In The Hague right now, an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is looking into the terrorist attacks that shook Lebanon in 2004 and 2005. This tribunal — created by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at the initiative of the United States, among others — provides a ready model of a court capable of dealing with the detainees.


Those now held in Guantánamo would be placed under international control and their trials held on neutral ground. American and foreign judges and prosecutors with experience in international criminal cases would then be enlisted to provide the expertise required to hear these types of criminal cases. As with the Special Tribunal for Lebanon, it would be paid for by a combination of American contributions and voluntary donations from other nations.


The support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 particularly from Middle Eastern countries and those European nations that played a part in the detention or transfer of these men — would be imperative to providing legitimacy to the process and the guarantees of independence and impartiality necessary to its success. Moreover, any convictions would need to bear the stigma of the entire world, not just that of a single nation.


An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would not answer all the legal questions surrounding the war on terrorism. But by putting its faith in the law, the Obama administration would send a potent message to both its supporters and its enemies. By giving a fair trial to the Guantánamo detainees, the United States would reassert its core values and demonstrate the supremacy of those values over the evil that has been challenging them.


The chief prosecutor at Nuremberg, Robert H. Jackson, said: “We must never forget that the record on which we judge these defendants is the record on which history will judge us tomorrow. To pass these defendants a poisoned chalice is to put it to our lips as well.” Let us hope that the wisdom of his prophecy has not been lost to those who will decide the fate of the Guantánamo detainees.


Guénaël Mettraux, the author of 밫he Law of Command Responsibility,?represents defendants before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s.


--------------------------------------------

Guénaël Mettraux will lecture on "International Criminal Justice: A Defense Perspective" on Monday, August 24 at noon in the Zorensky Classroom (No. 306). He has served as Defense Counsel,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for the Former Yugoslavia and Consultant for the Defense, the Special Tribunal for Lebanon, the Extraordinary Chambers in the Courts of Cambodia, and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Mettraux is a renowned practitioner, scholar, and teacher of international criminal law. He has appeared before or served as a consultant for all of the major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s in The Hague, and has lectured on international criminal law at top law schools in The Netherlands, Switzerland, Italy, the United States, and Bosnia & Herzegovina. The American Society of International Law honored his most recent book, The Law of Command Responsibility (Oxford 2009), with the prestigious Francis Lieber Prize.

The Land of ‘No Service’

http://www.nytimes.com/2009/08/16/opinion/16friedman.html?_r=1&adxnnl=1&ref=opinion&adxnnlx=1250442149-0fTVE7IG6tUZuOTvtIHgrQ

By THOMAS L. FRIEDMAN, Published: August 15, 2009

If you travel long enough and far enough — like by jet to Johannesburg, by prop plane to northern Botswana and then by bush plane deep into the Okavango Delta — you can still find it. It is that special place that on medieval maps would have been shaded black and labeled: “Here there be Dragons!” But in the postmodern age, it is the place where my BlackBerry, my wireless laptop and even my satellite phone all gave me the same message: “No Service.”

Yes, Dorothy, somewhere over the rainbow, there is still a “Land of No Service” — where the only “webs” are made by spiders, where the only “net” is the one wrapped around your bed to keep out mosquitoes, where the only “ring tones” at dawn are the scream of African fish eagles and the bark of baboons, where the only GPS belongs to the lioness instinctively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herself and the antelope she hopes will be her next meal, and where "connectivity” refers only to the intricate food chain linking predators and prey that sustains this remarkable ecosystem.

I confess, I arrived with enough devices to stay just a teensy-weensy connected to e-mail. I wasn’t looking for the Land of No Service. But the Okavango Delta’s managers and the Wilderness Trust — a South African conservation organization that runs safaris to support its nature restoration work — take the wilderness seriously. The staff at our camp on the northwestern tip of Chief’s Island, the largest island in the delta, did have a radio, but otherwise the only sounds you heard were from Mother Nature’s symphony orchestra and the only landscapes, sunsets and color combinations were painted by the hand of God.

So, like it or not, coming here forces you to think about the blessings and curses of “connectivity.” “No Service” is something travelers from the developed world now pay for in order to escape modernity, with its ball and chain of e-mail. For much of Africa, though, “No Service” is a curse — because without more connectivity, its people can’t escape poverty. Can there be a balance between the two?

For the normally overconnected tourist, the first thing you notice in the Land of No Service is how quickly your hearing, smell and eyesight improve in an act of instant Darwinian evolution. It is amazing how well you can hear when you don’t have an iPod in your ears or how far you can see when you’re not squinting at a computer screen. In the wild, the difference between hearing and seeing with acuity is the difference between survival and extinction for the animals and the difference between a rewarding experience and a missed opportunity for photographers and guides.

It was our guide spotting a half-eaten antelope lodged high in a tree that drew our attention to its predator, a leopard, calmly licking her paws nearby and then yawning from her midday meal. The cat’s stomach was heaving up and down, still digesting her prey. The leopard had suffocated the antelope — you could still see the marks on its neck — and then dragged it up the tree, holding it in her jaws, and placed the kill perfectly in the V between two branches. And there the antelope dangled, head on one side, dainty legs on the other, with half her midsection eaten away. The rest would be tomorrow’s leopard lunch, stored high above where the hyenas could not get it.

But while maintaining “No Service” in the wild is essential for Africa’s ecotourism industry, the rest of the continent desperately needs more connectivity. Eric Cantor, who runs Grameen Foundation’s Application Laboratory in Uganda, explains what a huge difference cellphones and Internet access can make to people in Africa:

“A banana farmer previously limited to waiting for a buyer truck to pass his farm to sell the week’s harvest can now use a mobile-phone marketplace to publicize the availability of his stock or to search for buyers who might be in the market or have truck transport available to a larger market,” said Cantor. “They can also compare going prices to gain more power in a negotiation. Teenagers too shy to ask parents about causes and symptoms of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can research them privately and improve their own health outcomes. A farmer with no money who needs a remedy for the pest attacking her primary crop can find one that uses locally available materials, when they need it.”

Botswana, about the size of Texas, luckily has enough diamonds to be able to turn 40 percent of its land into nature preserves. Its urban connectivity with the global diamond exchanges enables it to maintain “No Service” in its wilderness. Zimbabwe, by contrast, has become virtually a country of “No Service” after decades of dictatorship by Robert Mugabe, and, as a result, both its people and wildlife are endangered species.

The more African countries where “No Service” can be a choice, not a fate — an offering for the eco-tourist to enjoy, not a condition for the entrepreneur to overcome — the more hope that this continent will be able to enhance its natural wonders and its people at the same time.

FTA와 부동산투기의 함수관계

[이정전 칼럼]개방은 가속화하고 부동산보유세는 완화하면…
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60090802144939&Section=02

비록 아담 스미스가 경제학의 창시자로 추앙받고는 있지만, 그의 이론은 논리적으로 치밀하지 못했다. 아담 스미스의 뜻을 이어받아 경제학을 이론적 반석 위에 올려놓은 학자는 데이빗 리카도이다. 아담 스미스도 자본주의 경제의 이윤율 하락 경향을 지적하였지만, 리카도는 왜 이윤율이 하락할 수밖에 없는지 논리적으로 밝혀냈다. 이 때문에 자본주의는 결국 위기에 처하게 된다는 그의 장기정체이론 덕분에 경제학은 "음울한 과학"이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다.

그러면, 자본주의 위기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리카도는 자유무역 강력하게 주장하고 나온 반면, 그의 이론적 후계자라고 할 수 있는 헨리 조지는 토지단일세 높이 외쳤다. 두 사람 모두 대학에는 근처에도 가보지 못했다. 하지만, 리카도는 이론가의 이론가로서 당시 경제학계에서 존경받던 거두가 되었고, 헨리 조지는 인류 역사상 가장 많이 팔렸다고 알려진 경제학 베스트셀러 작가가 되었다. 그러나 오늘날 경제학 교과서에는 리카도의 자유무역 이론은 빠짐없이 소개되고 있는 반면, 헨리 조지의 토지단일세 이론은 어디에도 보이지 않는다. 기껏해야 우스개소리 정도로 소개된다.

현실을 돌아보면 오늘날에도 리카도식의 주장을 하는 사람들과 헨리 조지식의 주장을 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세계화와 자유무역협정(FTA)를 강력하게 옹호하는 목소리부동산에 대한 세금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동시에 들을 수 있다. 불과 얼마 전, 우리 사회의 양극화와 갈등에 대한 KBS토론회에서도 이 두 가지 종류의 주장이 나왔다.

한국과 FTA에 유보적이었던 미국 오바마 정부가 이를 긍정적으로 심의하기 시작하였다는 보도가 나왔다. 사실, 세계화와 FTA에 대하여 원칙적으로 반대하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세계화는 어쩔 수 없는 추세이고 우리나라와 같이 해외 의존도가 높은 나라로서는 FTA를 해야 앞으로 경제성장을 계속 이루면서 먹고 살 수 있다는 주장에는 충분히 일리가 있다. 그러나 어떤 제도든지 일단 실시되면 반드시 이익을 보는 사람과 손해 보는 사람이 갈리게 되어 있다. FTA도 그 예외는 아니다. 경제학자들이나 FTA를 강력하게 추진하는 사람들도 이점을 부인하지는 못할 것이다. 손해를 보는 사람들에게 확실한 보상을 해주지 않는다면 격렬한 반발이 일어날 것은 뻔하다. 반대자들을 비난만 하지 말고 이들이 왜 반대하는지를 진지하게 생각해보는 태도가 아쉽다.

▲ FTA가 모든 국민에게 혜택이 돌아갈 것이라는 주장은 별로 설득력이 없다. 사진은 FTA로 인한 농민의 피해에 대한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는 농민단체 기자회견.

FTA는 국익에 도움이 되고 결국 모든 국민이 혜택을 받게 된다는 주장은 별로 설득력이 없다. 왜냐 하면 이제까지의 개방화가 과연 우리 국민 모두에게 골고루 혜택을 주었는지 매우 의심스럽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IMF경제위기 이후 우리나라가 자본시장을 급속도로 개방하였고, 이 결과 경제성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지만 빈부격차는 오히려 급속도로 악화되었다. 가계소득으로 추정해보았을 때 소득5분위배율(상위 20% 소득계층의 총소득을 하위 20% 소득계층의 총소득으로 나눈 값)이 1997년에 4.09이었는데, 1999년에는 5.13배로 높아
지더니 이명박 정부가 들어선 2008년에는 무려 8.67까지 훌쩍 뛰었다고 한다. 쉽게 말하면, 대한민국에서 가장 잘 사는 20%의 소득이 가장 못사는 20%의 소득의 9배에 가깝다는 것이다.

왜 이렇게 빈부격차가 급속도로 벌어졌을까? 결국 자본시장의 개방화로 인한 이익이 오직 소수에게만 집중되었을 뿐 전 국민에게 골고루 퍼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자유무역이 경제성장을 가져오고 고용을 늘린다고 말하지만, 고용 없는 경제성장을 우리는 이미 오래 전부터 경험해왔다.

FTA가 무조건 고용을 늘리고 우리 모두를 잘 살게 하는 것은 아니다. 물론, FTA 실시로 인한 이익으로 손해 보는 사람들을 충분히 보상해주면 되는 것이 아니냐고 말하겠지만, 확실하게 보상해줄 수 있는 효과적 방법을 만들어내는 일이 그리 쉽지 않다. 치밀한 조사와 연구가 필요하다. FTA를 성사시키는 것보다 오히려 사후대책의 마련에 더 공을 들여야 한다. 너무 개방만을 서두른 나머지 사후 보상대책을 소홀히 하는 경우가 많았다. 과거 우루과이라운드 때에도 피해농민에 대한 보상책을 마련하였다고는 하지만, 너무 엉성하다보니 정작 보상받아야 할 사람들은 밀려나고 엉뚱한 사람들이 보상을 가로채는 일이 많았다.

대체로 보면, 경제학자들, 특히 신자유주의 성향이 강한 경제학자들은 총량적으로 득이 실보다 크냐 아니냐에만 관심을 기울일 뿐 누가 득을 보고 누가 손해를 보는지에 대해서는 관심이 없다.

정부 정책의 실시로 인하여 손해 보는 사람들에 대한 배려는 정부나 정치권에서 할 일이요 자기들은 알 바 아니라는 입장을 취한다. 그러나 이런 태도는 상당히 무책임해 보인다. 아무리 총량적으로는 득이 실보다 크더라도 소외된 사람들에게 충분히 보상을 해주지 못하는 정책이 반복된 결과 빈부격차가 벌어지고 양극화가 심해져서 우리 사회가 불안해지고 경쟁력이 떨어진다면 결국 장기적으로는 국가적 손실이다.소외된 사람들을 확실하게 보상해주지 못하는 자유무역이나 개방화는 이중으로 빈부격차를 벌이게 된다.

자유무역으로 인한 이익이 소수에 집중된다는 것은 이들이 큰 목돈을 손에 쥐게 된다는 뜻이다. 우리나라와 같이 부동산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풍토에서는 목돈의 가장 좋은 용처는 부동산투기다. IMF경제위기 이후 우리나라 부동산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하게 된 한 가지 큰 이유는 지속적 무역흑자로 형성된 목돈이 부동산시장으로 흘러들어갔기 때문이었다. 만일 자유무역으로 인한 이익이 전 국민에게 골고루 퍼졌다면, 아마도 그런 부동산투기 열풍은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다.

IMF경제위기 이후에 나타난 우리나라 부동산투기 열풍은 17세기 유럽의 튤립투기 열풍을 연상하게 하였다. 네덜란드가 한창 잘 나가던 때 무역흑자가 계속되면서 부자들이 크게 늘어났는데, 이들이 눈독을 들인 사치품목의 하나가 튤립이었다. 신흥부자들이 저마다 아름다운 튤립을 가꾸어놓고 자랑하다보니 자연히 튤립에 대한 투기시장이 형성되었고 그래서 유럽에 튤립투기 열풍이 불었다. 튤립 구근 하나의 가격이 웬만한 집 한 채 값보다 비쌌다고 하니 그 열풍이 어느 정도였는지 짐작할 만하다.

부동산투기는 빈부격차를 더욱 더 악화시킨다. 일반적으로 재산의 불평등은 소득의 불평등보다 훨씬 더 심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재산을 많이 가진 순서로 나열했을 때 상위 20%에 속하는 사람들이 가진 재산의 평균금액을 하위 20%에 속하는 사람들이 가진 재산의 평균금액으로 나눈 값을 재산 5분위 배율이라고 하는데, 2005년 우리나라의 재산 5분위 배율은 19.5이었다. 재산으로 따지면 상위 20% 부자는 하위 20% 가난뱅이에 비해서 약 20배 부유하다는 뜻이다.부동산투기를 억제하고 빈부격차를 완화하기 위하여 고안된 제도가 부동산보유세이다. 그 중에서도 토지보유세가 핵심이다. 세율이 충분히 높으면 토지보유세는 부동산투기를 억제하고 지가를 떨어뜨리는 효과를 낳는다.

신자유주의자나 일부 경제학자들은 토지보유세의 이런 효과에 회의적이지만, 근대경제학의 창시자인 알프레드 마셜은 토지보유세가 통상적 생각 이상으로 광범위한 효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음을 오히려 우려하였다.

하지만, 토지보유세의 가장 큰 난점은 조세저항이다. 세율이 약간만 높아도 조세저항이 강하게 일어난다. 보통의 저항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큰 영향력을 가진 사람들의 저항이라 더 무섭다. 토지를 가진 사람들은 대체로 사회적으로 영향력이 큰 사람들이다. 이들의 조세저항은 정권의 안위를 좌우할 만큼 크다. 노무현정부가 종합부동산세를 신설하여 부동산 보유에 높은 세금을 부과하였을 때 부동산부자들이 얼마나 세차게 반발하였으며 이들을 옹호하는 보수성향 일간신문들이 얼마나 집요하게 노무현 정부를 성토하였는지를 보면 부동산세금에 대한 조세저항의 강도를 가히 짐작할 수 있다. 사실, 대부분의 국가에서 토지세의 실효 세율이 1%에도 미치지 못하며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이보다 훨씬 낮음에도 불구하고 토지소유자들은 토지세에 거세게 반발한다.그러니 부동산보유세로 빈부격차를 완화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어 보인다.

물론, 그렇다고 포기해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다만, 토지보유세를 포함한 다각적인 대책이 있어야 함을 강조할 뿐이다. 아무리 개방화가 경제적으로 타당하더라도 그것만이 전부가 아니다. 개방화로 인하여 손해를 보는 계층을 배려하는 근원적인 대책의 마련에 좀 더 관심을 기울여야 하겠다.

/이정전 서울대 명예교수

Foreclosures Loom Large For Middle Class

http://www.npr.org/templates/story/story.php?storyId=111890779
by Chris Arnold, August 14, 2009

Foreclosures keep rising despite government efforts to prevent them. RealtyTrac reports that filings in July were up 32 percent from a year ago.

And as the crisis expands, it's dragging down more middle-class Americans who are making less money because of the battered economy. Many are responsible homeowners who've been paying their mortgages for years.


One Family's Struggle

At his corner diner and sandwich shop in Springfield, Mass., Ronald Crochetiere is leaning over the grill and scraping it down to clean it at the end of the day. "I'm one of these little guys on the corner. I've been here for 17 years," he says.

But with the recession, business has been much slower.

All fall and winter business was "going down, down, down when it should have been busy, busy, busy," Crochetiere says. It's not that he can't turn a profit, he says, "but the problem is kind of a small profit compared to what I made in the past."

Crochetiere says he's taking home about $1,000 a month less. On top of that his wife, a nurse, hurt her back and has had to cut back her hours. And for the first time in 21 years of marriage the couple is having trouble paying their bills and suddenly can't afford their mortgage. A lot of other long-time responsible homeowners are in the same boat.


Michelle Jones, a vice president at Consumer Credit Counseling Service, a big agency that works with homeowners around the country, says she has noticed a change. "We are talking with more clients who have never had serious financial difficulty before in their life," she says. More people who've always had jobs and always paid their bills are winding up in trouble, Jones says.
(e.g. overspent and wound up in debt.)

He has seen his income drop by about $1,000 a month during the recession.


In the past, people faced foreclosure for many reasons, such as divorce or costly medical expenses, she says. Of course, many had gotten into high-interest subprime loans that they could never afford in the first place. And, Jones says, overspending and a lack of education about budgeting were just as often the culprit. But now the biggest problem is loss of income (or employmet), she adds.

In June, 72 percent of the people calling the agency for help because they faced foreclosure cited a reduction in income or a loss of employment. "That's huge, and it's a big change for us," Jones says.

Pride In A Home

Back in Springfield, as the Crochetieres' two young children showed off their jumping skills in a backyard kiddie pool, Sandi Crochetiere, Ron's wife, said she loves the house. It's not a mansion. It's a raised-ranch-style home worth about $200,000.

The couple owes about $250,000 on it.

Since they're upside downowing more than it's worth — some people say they should just walk away from the house. But the Crochetieres have been here 12 years, and the couple say they want to pay what they owe.

And they don't want to leave. Sandi says she grew up on welfare and was the youngest of 10 children. She wants to give her kids more than she had.

Looking across the big backyard toward the kids, Sandi says the couple has worked hard for everything they have: "We built this house; this is what we've always planned on."

Loan Modifications

The family's biggest problem is a large home-equity loan. They used to be able to afford it. But the interest rate is at 11 percent. Ron's been trying to get it lowered.

A lot of economists say that (even) from a lender's perspective, doing that (-> get it lowered or reduced) to avoid a costly foreclosure is a good business decision. The Obama administration is pushing a program to encourage lenders to do more of this. The Treasury Department says the plan has so far resulted in 400,000 loan modifications offered to borrowers.

Mark Zandi, the chief economist for Moody's Economy.com, says Ron Crochetiere seems to be a good candidate. "For that person the president's loan mod plan is perfect because he wants to stay in that home."

Zandi says preventing foreclosures is crucial. And he worries the president's plan doesn't go far enough. Zandi would like people to get more incentive to stay in their homes by getting the size of their loan reduced. The president's plan lowers borrowers' payments, but it often still leaves them owing a lot more than their house is worth. "There are a lot more folks who don't think that makes any sense and they're just not going to do it," Zandi says.

He is in the camp of economists who think that a lot more foreclosures could be prevented if the industry would offer more aggressive loan modifications. The idea is not to offer these as some kind of charity, but because it's good for the economy and the lenders, too.

The Crochetieres are a case in point. They're already $50,000 upside down in the mortgage. Foreclosure sales often happen at fire-sale prices. So if the lender takes their house, they'll lose about $70,000 just in the sale. Then there are attorney's fees, months of lost income, and other expenses.

The lender might easily lose $100,000 in a foreclosure. Zandi says that gives lenders a lot of wiggle room to cut people deals that make good sense for everybody. (BUT) Some other economists are skeptical and think that most people facing foreclosure are just not good "credit risks." Those economists expect most of the people who get loan modifications to end up defaulting again.

The Crochetieres' lender, a company called Green Tree Servicing LLC, says it is considering a loan modification for the couple. But a recent report from the Treasury Department shows that as of the end of July, Green Tree has modified only 4 percent of its problem loans through the president's plan.

Climate Change Seen as Threat to U.S. Security

http://www.nytimes.com/2009/08/09/science/earth/09climate.html?_r=2&pagewanted=1&ref=earth

By
JOHN M. BRODER, Published: August 8, 2009

WASHINGTON — The changing global climate will pose profound strategic challenges to the United States in coming decades, raising the prospect of military intervention to deal with the effects of violent storms, drought, mass migration and pandemics, military and intelligence analysts say.

Such climate-induced crises could topple governments, feed terrorist movements or destabilize entire regions, say the analysts, experts at the Pentagon and intelligence agencies who for the first time are taking a serious look at the national security implications of
climate change.

Recent war games and intelligence studies conclude that over the next 20 to 30 years, vulnerable regions, particularly sub-Saharan Africa, the Middle East and South and Southeast Asia, will face the prospect of food shortages, water crises and catastrophic flooding driven by climate change that could demand an American humanitarian relief or military response.

An exercise last December at the
National Defense University, an educational institute that is overseen by the military, explored the potential impact of a destructive flood in Bangladesh that sent hundreds of thousands of refugees streaming into neighboring India, touching off religious conflict, the spread of contagious diseases and vast damage to infrastructure. “It gets real complicated real quickly,” said Amanda J. Dory, the deputy assistant secretary of defense for strategy, who is working with a Pentagon group assigned to incorporate climate change into national security strategy planning.

Much of the public and political debate on global warming has focused on finding substitutes for fossil fuels, reducing emissions that contribute to greenhouse gases and furthering negotiations toward an international climate treaty — not potential security challenges.

But a growing number of policy makers say that the world’s rising temperatures, surging seas and melting glaciers are a direct threat to the national interest.

If the United States does not lead the world in reducing fossil-fuel consumption and thus emissions of global warming gases, proponents of this view say, a series of global environmental, social, political and possibly military crises loom that the nation will urgently have to address.

This argument could prove a fulcrum for debate in the Senate next month when it takes up climate and energy legislation passed in June by the House.

Lawmakers leading the debate before Congress are only now beginning to make the national security argument for approving the legislation.

Senator
John Kerry, the Massachusetts Democrat who is the chairman of the Foreign Relations Committee and a leading advocate for the climate legislation, said he hoped to sway Senate skeptics by pressing that issue to pass a meaningful bill.
(sway ... by pressing the issue : 그 이슈를 강조해서 ...를 흔들다, 자극하다)

Mr. Kerry said he did not know whether he would succeed but had spoken with 30 undecided senators on the matter.

He did not identify those senators, but the list of undecided includes many from coal and manufacturing states and from the South and Southeast, which will face the sharpest energy price increases from any carbon emissions control program.

“I’ve been making this argument for a number of years,” Mr. Kerry said, “but it has not been a focus because a lot of people had not connected the dots.” He said he had urged
President Obama to make the case, too.

Mr. Kerry said the continuing conflict in southern Sudan, which has killed and displaced tens of thousands of people, is a result of drought and expansion of deserts in the north. “That is going to be repeated many times over and on a much larger scale,” he said.

The Department of Defense’s assessment of the security issue came about after prodding by Congress to include climate issues in its strategic plans — specifically, in 2008 budget authorizations by
Hillary Rodham Clinton and John W. Warner, then senators. The department’s climate modeling is based on sophisticated Navy and Air Force weather programs and other government climate research programs at NASA and the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The Pentagon and the State Department have studied issues arising from dependence on foreign sources of energy for years but are only now considering the effects of global warming in their long-term planning documents. The Pentagon will include a climate section in the Quadrennial Defense Review, due in February; the State Department will address the issue in its new Quadrennial Diplomacy and Development Review.

The sense that climate change poses security and geopolitical challenges is central to the thinking of the State Department and the climate office,” said Peter Ogden, chief of staff to Todd Stern, the State Department’s top climate negotiator.

Although military and intelligence planners have been aware of the challenge posed by climate changes for some years, the Obama administration has made it a central policy focus.

A changing climate presents a range of challenges for the military. Many of its critical installations are vulnerable to rising seas and storm surges. In Florida,
Homestead Air Force Base was essentially destroyed by Hurricane Andrew in 1992, and Hurricane Ivan badly damaged Naval Air Station Pensacola in 2004. Military planners are studying ways to protect the major naval stations in Norfolk, Va., and San Diego from climate-induced rising seas and severe storms.

Another vulnerable installation is Diego Garcia, an atoll in the Indian Ocean that serves as a logistics hub for American and British forces in the Middle East and sits a few feet above sea level.

Arctic melting also presents new problems for the military. The shrinking of the ice cap, which is proceeding faster than anticipated only a few years ago, opens a shipping channel that must be defended and undersea resources that are already the focus of international competition.

Ms. Dory, who has held senior Pentagon posts since the Clinton administration, said she had seen a “sea change” in the military’s thinking about climate change in the past year. “These issues now have to be included and wrestled with” in drafting national security strategy, she said.

The National Intelligence Council, which produces government-wide intelligence analyses, finished the first assessment of the national security implications of climate change just last year.
It concluded that climate change by itself would have significant geopolitical impacts around the world and would contribute to a host of problems, including poverty, environmental degradation and the weakening of national governments.

The assessment warned that the storms, droughts and food shortages that might result from a warming planet in coming decades would create numerous relief emergencies.

“The demands of these potential humanitarian responses may significantly tax U.S. military transportation and support force structures, resulting in a strained readiness posture and decreased strategic depth for combat operations,” the report said.

The intelligence community is preparing a series of reports on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individual countries like China and India, a study of alternative fuels and a look at how major power relations could be strained by a changing climate.

어떤한 형태로든
“We will pay for this one way or another,” Gen.
Anthony C. Zinni, a retired Marine and the former head of the Central Command, wrote recently in a report he prepared as a member of a military advisory board on energy and climate at CNA, a private group that does research for the Navy. “We will pay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today, and we’ll have to take an economic hit of some kind.

“Or we will pay the price later in military terms,” he warned. “And that will involve human lives.”

First Up For Sotomayor: A Case With Partisan Edge

http://www.npr.org/templates/story/story.php?storyId=111614828
by Liz Halloran , August 6, 2009

Sonia Sotomayor made history Thursday, winning approval from the Senate to become the next Supreme Court justice — and the first Hispanic to sit on the nation's mightiest bench.

Sotomayor's confirmation came despite strong Republican opposition and on a mostly party line vote of 68-31. But the partisan bickering surrounding Sotomayor isn't likely to end once she is sworn in on Saturday morning. In less than a month, the court is scheduled to rehear arguments in a high-profile campaign finance case that could rewrite rules that restrict political campaign spending by corporations and unions.

And it just so happens, legal experts say, that issues of campaign finance and the ongoing struggle to balance free speech rights with the corrupting effect of big money in politics lie right in Sotomayor's wheelhouse.

"She is the only one on the court who has experience as a campaign finance regulator," says Rick Hasen of Loyola Law School in Los Angeles, referring to Sotomayor's four years as a member of the New York City Campaign Finance Board.

"Her experience is in both election law and policy, and she could bring a different perspective," Hasen says.

The Hillary Clinton Movie

At issue in the case, scheduled to be reargued Sept. 9, is whether the Federal Election Commission violated a conservative advocacy group's free speech rights when it barred the release of an anti-Hillary Clinton movie on the eve of the 2008 presidential primary season

Citizens United, which produced the movie, argued that the tenets embodied in the 2002 McCain-Feingold campaign finance law suppress political free speech by barring the use of corporate and union funds for partisan communications and limiting the time frame in which those partisan advertisements or broadcasts can be shown.

The FEC and a lower court found that the film, funded in part by corporate donations, violated the law's big money ban as well as a rule that prohibits "electioneering communications" in the 30 days before a primary for federal office — in this case, a presidential primary season during which Clinton was seeking her party's nomination.

But the Supreme Court's decision to have the case reargued suggested that justices less friendly to corporate campaign spending rules may be using the movie case to re-examine the broader law, including subsequent high court decisions that upheld corporate and union money restrictions.

"You always tremble a little bit when something like that happens," says Mary Wilson, president of the League of Women Voters, which has filed a friend of the court brief in favor of the FEC's position.

"From our perspective, we are trying to protect our political process from huge corporate expenditures in candidate elections," she says. "When something's not decided on the briefs, we wonder, what more do they need to hear on this?"

Big Changes Afoot?

Hasen is among election law experts who say that the court under Chief Justice John Roberts' guidance, and since now-retired Justice Sandra Day O'Connor was replaced by Justice Samuel Alito, has been consistently chipping away at campaign finance rules.

"They've decided four cases before this one and in each, they either held a rule unconstitutional, created an exception" or otherwise weakened the law, Hasen says.

A ruling for Citizens United "would be a significant change in its own right, and also signal that other campaign finance laws are ripe for challenge," Hasen says.

But Steven Shapiro of the American Civil Liberties Union says that predictions of great changes are overstated.

"I don't think it would be the end of campaign finance legislation as we know it," says Shapiro, who co-wrote the ACLU's friend of the court brief that supports Citizens United.

"This is not a challenge to contribution limits, nor is it a challenge to soft-money limits," he said. "This is about government revocation of core political speech, regardless of the speaker."

In its brief, the ACLU asserts that McCain-Feingold's broad prohibition on "electioneering communications" and its ban on corporations' and unions' paying for such communications violate the First Amendment on its face. The FEC defines electioneering communications as any broadcast, cable or satellite communication that refers to a "clearly identified candidate" for federal office, is publicly distributed shortly before an election for office that candidate is seeking, and is targeted to voters who will decide the race.

Sotomayor's Role

So how might the country's newest justice figure in the clearly polarizing debate?

Wilson of the League of Women Voters says she believes that Sotomayor's experience and her personality will help advance arguments made by those who favor keeping restrictions intact.

"She was on the New York City Campaign Finance Board, so she certainly has familiarity with these kinds of issues," Wilson says. "We also know that she's very good at asking pointed questions and getting to the heart of the matter."

Sotomayor was a founding member of the nonpartisan finance board in 1988, and she served until 1992, when she was named a District Court judge. The board administers the city's public matching campaign funds program, monitors candidate contribution limits and disclosures, publishes a voter guide and oversees debates.

In his assessment of Sotomayor's record on campaign finance, Hasen says he found that her decisions mirror those made by Justice David Souter, the high court jurist whom she is expected to replace.

So though she brings experience to the issue, her presence on the court won't wrest control of the issue from the court's majority conservative wing.

"It's a very high-profile case, and one about which she is likely to have a strong opinion," Hasen says. "But whether she can sway the conservatives? I doubt it."

Sotomayor Sworn In As Supreme Court Justice

http://www.npr.org/templates/story/story.php?storyId=111689752

by Tom Bowman, August 8, 2009

Sonia Sotomayor has been sworn in as a Supreme Court justice, becoming the first Hispanic justice and only the third woman to reach the high bench. (오코너, 진스버그)

The 55-year-old justice was raised in a South Bronx housing project. Saturday, she raised her hand in an ornate conference room at the Supreme Court, beneath a portrait of the legendary Chief Justice John Marshall.

She took the oath from Chief Justice John Roberts, flanked by her brother and her mother, who held the Bible.
(Two stone lions flanked the entrance.)

Sotomayor swore to "administer justice without respect to persons" and "do equal right to the poor and to the rich."

Relatives and friends applauded at the end of her oath. A private oath was administered before the public ceremony.

The several dozen guests included Justice Anthony Kennedy, White House counsel Greg Craig and other members of the administration's team that helped prepare her for her Senate confirmation hearings.

Roberts, wearing his black judicial robe, said that once the oaths were done, Sotomayor could "begin work as associate justice without delay."

President Obama scheduled a White House reception for Sotomayor on Wednesday.

The court is set to hear arguments Sept. 9 in a campaign finance case. The entire court will convene the day before for a formal ceremony to welcome Sotomayor.

Sotomayor has been a federal judge for 17 years. Obama nominated her in May to take the place of Justice David Souter after Souter announced his retirement. The Senate confirmed Sotomayor's nomination Thursday by a 68-31 vote.

Most Republicans voted against Sotomayor, many citing a speech where she said she hoped a "wise Latina woman" would often reach a better conclusion than "a white male who hasn't lived that life."

Sotomayor later apologized, calling that a "rhetorical flourish that fell flat."

The Associated Press contributed to this report.

Women at Risk

By BOB HERBERT , Published: August 7, 2009


http://www.nytimes.com/2009/08/08/opinion/08herbert.html?_r=1&ref=opinion


“I actually look good. I dress good, am clean-shaven, bathe, touch of cologne — yet 30 million women rejected me,” wrote George Sodini in a blog that he kept while preparing for this week’s shooting in a Pennsylvania gym in which he killed three women, wounded nine others and then killed himself.

We’ve seen this tragic ritual so often that it has the feel of a formula. A guy is filled with a seething rage toward women and has easy access to guns. The result: mass slaughter.

Back in the fall of 2006, a fiend invaded an Amish schoolhouse in rural Pennsylvania, separated the girls from the boys, and then shot 10 of the girls, killing five.

I wrote, at the time, that there would have been thunderous outrage if someone had separated potential victims by race or religion and then shot, say, only the blacks, or only the whites, or only the Jews. But if you shoot only the girls or only the women — not so much of an uproar.

According to police accounts, Sodini walked into a dance-aerobics class of about 30 women who were being led by a pregnant instructor. He turned out the lights and opened fire. The instructor was among the wounded.

We have become so accustomed to living in a society saturated with misogyny that the barbaric treatment of women and girls has come to be more or less expected.

We profess to being shocked at one or another of these outlandish crimes, but the shock wears off quickly in an environment in which the rape, murder and humiliation of females is not only a staple of the news, but an important cornerstone of the nation’s entertainment.

The mainstream culture is filled with the most gruesome forms of misogyny, and pornography is now a multibillion-dollar industry — much of it controlled by mainstream U.S. corporations.

One of the striking things about mass killings in the U.S. is how consistently we find that the killers were riddled with shame and sexual humiliation, which they inevitably blamed on women and girls. The answer to their feelings of inadequacy was to get their hands on a gun (or guns) and begin blowing people away.

What was unusual about Sodini was how explicit he was in his blog about his personal shame and his hatred of women. “Why do this?” he asked. “To young girls? Just read below.” In his gruesome, monthslong rant, he managed to say, among other things: “It seems many teenage girls have sex frequently. One 16 year old does it usually three times a day with her boyfriend. So, err, after a month of that, this little [expletive] has had more sex than ME in my LIFE, and I am 48. One more reason.”

I was reminded of the Virginia Tech gunman, Seung-Hui Cho, who killed 32 people in a rampage at the university in 2007. While Cho shot males as well as females, he was reported to have previously stalked female classmates and to have leaned under tables to take inappropriate photos of women. A former roommate said Cho once claimed to have seen “promiscuity” when he looked into the eyes of a woman on campus.

Soon after the Virginia Tech slayings, I interviewed Dr. James Gilligan, who spent many years studying violence as a prison psychiatrist in Massachusetts and as a professor at Harvard and N.Y.U. “What I’ve concluded from decades of working with murderers and rapists and every kind of violent criminal,” he said, “is that an underlying factor that is virtually always present to one degree or another is a feeling that one has to prove one’s manhood, and that the way to do that, to gain the respect that has been lost, is to commit a violent act.”

Life in the United States is mind-bogglingly violent. But we should take particular notice of the staggering amounts of violence brought down on the nation’s women and girls each and every day for no other reason than who they are. They are attacked because they are female.

A girl or woman somewhere in the U.S. is sexually assaulted every couple of minutes or so. The number of seriously battered wives and girlfriends is far beyond the ability of any agency to count.

There were so many sexual attacks against women in the armed forces that the Defense Department had to revise its entire approach to the problem.

We would become much more sane, much healthier, as a society if we could bring ourselves to acknowledge that misogyny is a serious and pervasive problem, and that the twisted way so many men feel about women, combined with the absurdly easy availability of guns, is a toxic mix of the most tragic proportions.

대한민국을 움직이는 ‘입’, 손석희



내가 ‘과대포장’ 됐다면 실체 벌써 드러났겠죠”

이나리 동아일보 주간동아 기자 byeme@donga.com / 사진·김성남 기자







● 가난이 준 불안과 우울…“조울증 기 있었다”
● “이 학생 고집은 똥고집”…터프하고 강단 있던 소년
● MBC 전체 수석 입사, 4년 만에 ‘공정방송투쟁’ 얼굴로
● “차분하고 냉정하다는 평, 동의할 수 없다”
● “큰 영향력, 시사프로 진행에 오히려 해 될까 걱정”
● “나는 강퍅한 인간…방송 위해 스스로 담쌓고 산다”

“선배, 손석희씨 독감이라던데? 너무 심해서 ‘100분 토론’이랑 ‘시선집중’도 못했대요.”

‘주간동아’ 마감으로 한창 바쁜 금요일, 한 후배가 ‘아직 몰랐냐’는 투로 말했다. “내일 MBC 손석희(孫石熙·50) 아나운서국장과 2차 인터뷰를 할 예정”이란 말을 막 꺼낸 참이었다.

이런. 어깨 힘이 탁 풀렸다. 이틀 전 첫 인터뷰 말미에 그가 한 말이 있었다.

“이거 걱정되네. (인터뷰) 시작할 때보다 많이 안 좋아졌어요. 방송 못하게 되면 이 기자가 책임져야 돼요.”

안 그래도 인터뷰 내내 목캔디를 입에 달고 있던 그였다. 얘기가 길어지다 보니 그만 성대에 무리가 간 듯했다. 책임지라는 말이야 농담이겠지만 진짜 방송 펑크라니, 미안하기도 하고 낭패스럽기도 하고…. 어쨌거나 2차 인터뷰는 물 건너갔다 싶었다.
인터넷 검색부터 해봤다. 찾은 기사 제목은 이랬다. ‘손석희 연이어 결방한 까닭은?’ 내용인즉, ‘감기 탓이라지만 혹 ‘PD수첩’ 관련 보도 태도에 대한 네티즌의 공세 때문 아니냐’는 것이었다. 아닌게아니라 최근 손석희는 네티즌들로부터 전례 없는 공격을 받고 있는 터였다. MBC ‘PD수첩’의 황우석 서울대 교수 관련 보도 때문이었다.

물론 손석희 자신이야 그 보도와 아무 상관이 없다. 그럼에도 일부 네티즌은 MBC 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 사이트로 몰려가 “‘PD수첩’이 잘못한 게 뻔한데 손석희는 왜 입 다물고 있느냐”며 비난을 퍼부었다. 이는 역설적으로, 손석희에 대한 국민의 신뢰가 얼마나 확고한 것인지를 보여주는 한 사례일 수 있다. ‘제 식구’이건 아니건, 손석희는 바른 말, 해야 할 말은 꼭 하고야 마는 사람이란 믿음이 그것이다.

영향력·신뢰도 1위 언론인

손석희는 청취자를 오래 기다리게 하지 않았다. 지난 12월6일, 그는 ‘시선집중’ 프로그램을 통해 “이 사안에 대해 균형 보도를 하고 싶었지만 황우석 교수 쪽에서 인터뷰에 응하지 않아 어려웠다”며 “PD수첩의 잘못된 취재방식은 변명의 여지가 없으나, 연구 자체와 관련한 논란에 대해선 황 교수가 직접 답해야 할 것”이란 견해를 밝혔다. 비난 여론이 또 한 번 비등했다. 일부 언론이 그의 ‘부재(不在)’를 보도하며 ‘PD수첩’ 건을 은근슬쩍 끼워넣은 것은 이 같은 저간의 사정 때문일 것이었다.

인터뷰는 물론 기사 작성이 끝난 12월15일, “줄기세포는 없다”는 노성일 미즈메디병원장의 폭탄선언이 터져나왔다.

어쨌거나 대단하지 않은가. 아나운서 한 명이 감기에 걸렸다, 부득이 방송 진행을 못하게 됐다. 그런데 이런저런 정치적 해석이 난무한다. 사람들은 현안에 대한 그의 생각에 촉각을 곤두세운다. 그래서 한마디 하면 또 인터넷 세상이 들썩인다. 모모한 원로 정객 저리 가라요, 웬만한 신문 논설위원은 명함도 못 내밀게 생겼다. 하긴 그가 한 시사주간지 조사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언론인’ 1위와 ‘가장 신뢰성 있는 언론인’ 1위를 차지한 것이 바로 요 얼마 전이다.
어쨌거나 지레 포기할 수는 없어 그에게 전화를 했다. 역시, 목소리가 정상이 아니다. 안 그래도 인터뷰 안 하기로 유명한 그가 어렵게 응한 자리였다. 더 못하겠다면 우길 재간이 없었다. 그런데 뜻밖, “마저 해보자”는 답이 돌아왔다.

“지금 제가 인터뷰하고 그럴 때가 아닌데. 목도 목이지만 요즘 (MBC가) 이렇게 힘들어서….” 하지만 두 번 말하지는 않았다. ‘PD수첩’ 건이 터지기 전에 한 약속인 만큼 곤란해도 지켜야 한다고 판단한 듯했다. 말에 군더더기가 없는 것, ‘내 방송’만큼 ‘남의 기사’도 고려하는 것, 상황이 바뀌어도 약속대로 움직이는 것. 그는 합리적인 사람이었다.

사실 손석희와의 만남은 썩 기대되는 일이 아니었다. 그 스스로 대한민국에서 둘째가라면 서러운 인터뷰어다. 무슨 말을 하고 하지 말아야 할지, 그보다 더 잘 알고 있는 이도 드물 것이다. 게다가 ‘사생활과 정치 얘기는 안 한다’는 무언의 조건까지 달려 있는 참이었다. ‘거 참, 의욕 안 생기네’ 혼자 투덜대던 중 그 책, 아니 그 얼굴을 만났다. 그가 1993년 펴낸 에세이집 ‘풀종다리의 노래’(역사비평사) 표지에 실린 서른 대여섯 살 적 그의 모습이었다.

사진 속 그는 예뻤다. 귀엽고 깨끗했다. 여주인공을 설레게 하는 순정만화 속 이웃집 소년 같았다. 이렇게 예쁘던 남자가 쉰 살이 되면 어떤 얼굴을 갖게 되는지 알고 싶었다. 그는 자기 얼굴을 어떻게 책임지며 쉰 살이 됐는지 알고 싶었다. 비로소 여의도로 향하는 발걸음이 가벼웠다. MBC 사옥 6층, 아나운서국장실에서 그를 처음 만났다.

이 학생 고집은 똥고집

인터넷에 떠도는 신조어 중 ‘미중년(美中年)’이라는 것이 있다. 그저 ‘잘생긴 중년 남성’을 일컫는 말이라 생각하면 오산이다. 미중년의 조건은 네티즌들의 주장에 따르면 ‘품격 있는 따스함, 권위를 살짝 위반하는 귀여움, 자기만의 개성을 극단으로 밀어붙인 섹시함’이다. 손석희, 그는 아쉽게도 미중년이 아니었다. 그는 그렇게 귀엽지도, 따스해 뵈지도, 개성이 넘쳐 흐르는 듯 보이지도 않았다. 방송에서 보여지는 이미지와 실제의 그는 놀랍도록 비슷했다. 꿈꾸는 눈동자의 ‘미소년’은 유능하고 절제력 강한 ‘방송인’이 돼 있었다. 그런데 왠지 미련이 버려지질 않았다. 이를테면 햇빛 때문이었다.

내가 지켜 온 가장 오랜 기억은 햇빛에 대한 것이다. 널따란 신작로에 줄지어 늘어선 포플러 나무들, 그 나뭇잎들 사이로 부서지던 한낮의 햇빛, 끊어질 듯 말 듯 들려오던 골목길 안의 아이들 소리…. 그 때 나는 세 살쯤이었던가. 아스라하여 자꾸 도망가려는 그 기억의 끝자락을 가까스로 붙들어 세상에 대한 내 첫 기억으로 남겨 놓았다.’

그의 에세이집 첫 꼭지의 첫 문장이다. 또한 그는 한 인터뷰에서 불의의 사고로 세상을 뜬 동료 정은임 아나운서에 대한 추억을 묻자, 다만 “몸집 작은 사람이 흰 눈밭을 또박또박 걸어가던 뒷모습”을 이야기했다. 모르긴 몰라도 정은임 아나운서의 정갈한 성품과 고독한 면모를 이처럼 정확히 묘파한 표현은 많지 않을 것이다. 그러니 그를 어찌, 냉정하고 절제력 강한 방송인으로만 단정할 수 있겠는가. ‘딱 한 장의 그림’으로 한 사람과 한 시기, 한 세계를 인상지울 수 있는 직관력은 아무나 타고나는 것이 아니다.

손석희는 서울 토박이다. 위로 누나 하나, 아래로 남동생 하나가 있다. 직업군인이던 아버지는 그가 여섯 살 때 군복을 벗었다. 그해 여름은 유난히 가물었다. 아버지는 양수기 판매업에 뛰어들었다. 가진 돈 다 털고 자그마한 집까지 잡혀 양수기를 사들였다. 그걸 경기도 전곡 어딘가에 풀어놓았는데 이튿날 그만 큰물이 져 몽땅 떠내려가 버리고 말았다. 그는 “이후 우리 식구들의 삶은 그 양수기 사건처럼 극적인 데가 있었다”고 했다.
한번 자리잡은 가난은 쉬 떠나지 않았다. 집을 잃은 그의 가족은 중구 필동의 한 양철담장집에 세를 들었다. 거기서 그는 초등학교 저학년 시절을 보냈다.

“제가 고집이 좀 셌어요. 2학년 통지표에 ‘이 학생 고집은 똥고집’이라는 표현이 있을 정도니까. 또 제법 터프한 편이었는데, 근처 퇴계로 고아원에 살던 아이들이랑 주로 어울렸어요.”
단지 ‘비슷하게 어려운 처지’여서 그랬던 것만은 아니었다.

적산가옥에 사는 몇몇 아이를 빼곤 특별히 더 잘살 것도, 못살 것도 없는 살림이었다. 그런데 초등학교 3학년 시절, 그는 이런 동류의식이 소리없이 무너지는 경험을 하게 됐다. 진원지는 새로 담임을 맡은 40대 여교사의 빈 커피병이었다.

담임선생님은 도시락 반찬을 싸오지 않았다. 대신 아이들 도시락에서 반찬을 적절히 ‘빼앗아’ 먹었다. 처음에는 빈 커피병 가득 김치를 거둬 먹고 남은 것은 싸 가지고 갔다. 열흘 후쯤부턴 도시락 뚜껑에다 다른 반찬들까지 담았다. 선생님은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갔다. 아이들의 도시락 반찬을 둘러본 다음 “누구, 누구, 누구는 도시락 들고 나와라. 선생님하고 같이 먹자”고 한 것이다.
이렇게 해서 그의 3학년 시절 급우들은 ‘선생님 책상 앞에 거의 늘 불려 나가는 아이들과 가끔씩 불려 나가는 아이들, 전혀 나가보지 못한 아이들’로 세 동강이 났다. 그는 비로소 가난을 알았다. 그로 인한 설움과 자괴심, 억눌린 분노도 경험했다. 필동 시절은 그렇게 막을 내렸다.

그의 가족이 다음으로 옮겨간 곳은 성북구 보문동이었다.
“거기 애들은 아주 조용하고 얌전하더군요. 저도 덩달아 그런 아이가 됐죠.”

6학년 때는 그야말로 ‘하늘이 무너지는’ 경험을 했다. 보문동 안에서도 몇 번 이사를 다닌 끝이었다. 온 가족이 저녁상을 물리고 며칠 전 마련한 TV 앞에 둘러앉아 있는데 천장에서 작은 흙덩이 몇 개가 후두둑 떨어졌다. 전날부터 내린 비 때문인 듯했다. 날림으로 지은 한옥에서 빗물 새는 것쯤은 예사여서 처음엔 식구들도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다. 그런데 시간이 지날수록 떨어지는 흙의 양이 점점 많아졌다. 어머니가 문득 말했다. “이러다 집 무너지는 거 아닐까?”

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안방에 있던 가재도구를 마루로 옮기기 시작했다. 담요로 장롱을 덮고 다음날 입을 옷가지를 챙겨 나온 직후, 굉음이 터져나왔다. 거짓말처럼 정말, 천장이 무너졌다. 다음날 아침 인부들을 불러 쏟아진 흙더미를 한참 파헤친 뒤에야 안방에 들어갈 수 있었다. 그는 “거기서 평생 잊지 못할 광경을 봤다. 천장이 있어야 할 그곳에 구름 한 점 없는 파란 하늘이 있었다”고 했다.

손석희는 이른바 ‘7·15 해방’ 세대다. 입시가 아닌 추첨을 통해 중학교에 입학한 첫 세대라는 뜻이다. 그는 우이동에 있는 서라벌중학교에 배정 받았다.

그즈음 안암동으로 이사한 그는 미아리고개 너머 학교까지 버스 예닐곱 정거장 길을 꼬박 걸어 다녔다. 차비 모으기에 재미가 들린 탓도 있었지만, 사실 더 좋았던 건 걷는 일 그 자체였다. 그는 자신의 책에 ‘이제 막 자리를 잡아가던 세상에 대한 내 사념의 방식도 그 혼자만의 오롯한 통학길에서 상당부분 연마됐을 것’이라 적고 있다.

자존심을 어떻게 지킬 것인가

3년을 걸어다니며 채운 두 개의 저금통을 깬 건 고등학교 2학년 때였다. 조립식 전축 한 대와 레코드 두 장을 샀다. 거쉰의 ‘랩소디 인 블루’, 만토바니의 영화음악집이었다. 그는 “결혼해 새 전축을 들여놓기까지 15년 가까운 세월을 그 전축과 함께 살았다”고 했다.

하지만 지금 그는 클래식 음악을 즐기지 않는다. 음악회도 가지 않는다. “거기서 내가 만들어내야 할 가식적 분위기가 싫기 때문”이란다. 비슷한 맥락에서 그는 정중한 언변으로 무장한 사람들을 좋아하지 않는다. “글쎄 뭐랄까, 그렇게 말하는 사람들은 (자기 스타일을) 즐긴다는 생각이 들어서요.”
‘명문고 입학’을 지상 과제로 내건 학교의 교육방침 때문에 그의 중학교 시절은 숨이 막혔다. 하지만 그는 조용히 감내했다. 1학년 땐가 마침 교감 아들인 친구녀석 하나와 국기게양대 꼭대기에 교모를 걸어놓은 것이 일탈이라면 유일한 일탈이었다. “다음날 아침 미아리고개를 넘어가는데 저 멀리 그 모자가 바람에 펄럭이는 모습이 보이더군요. 묘한 카타르시스를 느꼈죠.”

그렇다 해서 그가 호락호락한 학생이었던 것은 아니다.
“중학교 때 물상 선생님이 절 미워했어요. 이유? 모르죠. 그냥 주는 거 없이 미운 사람도 있으니까. 3학년 때였는데, 수업시간 중 옆자리 친구에게 ‘관성의 법칙이 뭐냐’고 묻다 딱 걸렸죠. 잡담했다는 이유로 아주 세게 야단을 맞았어요.”

그 주 일요일, 그는 아침 7시부터 자정까지 방에서 나오지 않았다.

“중학교 3년 물상교과서를 다 뗐어요. 밥도 가져다 달라 해서 먹었죠. 그러고 나니 점수가 대폭 오르더군요. 어린 나이였지만 자존심이란 어떻게 지켜야 하는지를 깨닫는 계기가 됐죠.”
지금의 현대 계동사옥 자리에 있던 휘문고등학교에 입학했다. 모 명문공립학교 입시에 낙방한 다음이었다. 입학식 후 며칠이 지나 그는 선배들에게 ‘찍혀’ 덜컥 방송반원이 됐다.
“선배들 따라 방송실에 가보니 먼저 끌려온 송승환(현 PMC프로덕션 대표)이가 저 뒷구석에 쪼그리고 앉아 있더라구요.”
말이 방송반이지 시설은 열악하기 짝이 없었다. 마이크가 고장 나 잭에 헤드폰을 꼽고 방송을 할 지경이었다.
하지만 이 때의 방송반 활동은 이후 그가 아나운서란 직업을 택하는 데 결정적 계기가 됐다.

중학 시절 2, 3년간 제법 피는가 싶던 집안 살림은 그가 고등학생이 되면서 다시 가파른 내리막길을 걷기 시작했다. 고교 신입생 시절, 그는 어머니와 함께 서대문구치소로 향했다. 부도를 내 구속기소된 아버지가 거기서 재판을 받고 있었다. 하지만 그는 아버지를 미워하거나 싫어하지 않았다. 오히려 그에게 아버지는 늘 삶의 준거가 돼 준 소중한 존재였다.

가난, 우울하고 불안한 무엇

‘…아버지는 당신 앞에 나를 불러 앉히시더니 내게 법(法)자를 한자로 써보라 하셨다. 물 수(水) 변에 갈 거(去), 물이 흐르는 이치대로 양심이 편한 쪽으로 행동하면 그것이 곧 법과 같다는 말씀이셨다.’ 그는 에세이집에서 아버지에 대한 기억 한 토막을 이렇게 풀어놓고 있다.

그렇더라도 늘 가난에 옥죄인 생활은 우울하고 불안한 것이었다. 고교 2학년 당시 그들 가족은 보문동 산비탈에 있는 방 두칸에, 부엌이 딸린 집에 살았다. 그나마 방 하나는 홀로 남매를 키우는 아낙에게 세를 준 형편이었다.

"세 든 집 가장이 간첩 혐의로 사형당했다는 소릴 들었어요. 그 전까지만 해도 제법 잘 살아서, 열두세 살 먹은 딸내미는 화동(국내외 귀빈에게 꽃을 전달하는 어린이) 활동도 했다 그러더군요.”
어느 맑은 여름 오후였다. 그는 좁은 마당 한 귀퉁이에 있는 변소에 쭈그리고 앉아 있었다. 문이라고 달린 것이 나무 판자 몇 개를 대충 얽어놓은 모양새여서, 판자 틈새로 바깥 풍경이 훤히 내다보였다.

“좀 있으려니 그 집 딸이 와 똑똑 문을 두드리더군요. 사람 있단 표시를 하자 문밖에서 가만히 기다렸어요. 그때 그 문틈으로 내다뵈던 슬픈 눈매, 아이 눈동자 속으로 흘러 들어가던 흰 뭉게구름이며 누추한 동네풍경을 잊을 수가 없어요.”

열여덟 소년이 아이의 눈에서 발견한 건 아마도 그 자신의 슬픔이었을 것이다.

“그랬겠죠. 그 무렵 식구들은 제게 ‘넌 조울증 기가 있다’는 말을 하곤 했어요. 이사가 워낙 잦고 생활도 부침이 많다 보니 일관성을 유지하기가 쉽지 않았죠. 때문에 때론 너무 쉽게 포기하고 때론 지나치리만큼 뭔가에 집착하기도 했어요. 전 좌우명 같은 게 없지만 굳이 말하라면 ‘첫 마음을 지키자’라고 할까요. 환경에 휘둘렸던 기억을 지금도 잊지 못하고 있으니까요.”

이쯤 얘기하고 보니 벌써 3시간이 지나 있었다. 2차 인터뷰를 약속하고 여의도를 빠져나왔다.

그를 두 번째로 만난 곳은 조용한 주택가의 한 커피숍이었다. 그는 모자부터 방한복까지, 그야말로 온몸을 둘둘 감은 채 약속 장소에 나와 있었다. 감기가 심한 줄은 알았지만 막상 그 모습을 보니 세게 물을 수도, 들을 수도 없겠구나 싶어 또 한번 맥이 빠졌다. 하지만 어쩌랴, 대화는 시작됐고 그는 최선을 다해 주었다.

지 궁둥이로 덥힌 자리가 최고

손석희는 재수를 했다. 그러고도 또 쓴잔을 마셨다. ‘포기가 빠른’ 그는 미련없이 국민대 국문학과에 입학했다. 1979년 ‘좀 편해보겠다고 타자 배워 간 군대’에서 그는 10·26, 12·12, 5·18, 삼청교육대 사건을 겪었다. 근무지는 부산 군수사령부였다. 다른 건들이야 그저 구경꾼일 뿐이었지만 ‘삼청작전’은 달랐다. 실탄 없는 카빈총을 지급받은 그는 동료들과 함께, 광안리로 해운대로 다니며 몸에 문신한 이들을 잡아 모았다. 당시 기억은 지워지지 않는 화인(火印)이 됐다.

그가 대학을 졸업할 무렵은 취업난이 극에 달한 때였다. 국문과 출신이 설 자리는 더욱 좁았다. 그나마 언론사가 차별 없이 대등한 경쟁을 펼칠 수 있는 곳이었다. 한 유력 일간지 총무부 사원으로 입사했다 진로를 바꿔 다시 MBC 입사시험을 쳤다. 그의 말에 따르면 이는 “주체적이지 못한 선택”이었다. “넌 방송반도 했고 그 쪽에 잘 어울리니 (시험) 한번 봐 보라”는 친구들의 권유가 결정적이었다. 1984년 그는 MBC 아나운서가 됐다. 기자·PD직을 포함, 전체 수석 합격의 영예도 안았다. 그에게 “수석이었다면서요” 하니 빙긋 웃으며 “NCND(긍정도 부정도 아님)”라고 답했다.

친구들의 눈은 정확했다. 그는 타고난 방송쟁이였다. 입사 후 2, 3년이 지났을 무렵엔 가히 MBC를 대표하는 아나운서라 해도 손색없을 만큼 입지를 확실히 굳혔다. 1986년에는 보도국으로 발령이 났다. 기자가 된 것이다.

“당시 제가 맡은 프로가 5개였는데 그 중 3개가 뉴스였어요. 앵커 이미지가 워낙 강하니까 회사측에서 직종을 바꾸는 게 어떨까 생각한 거죠. 보도국 분들이야 아주 잘 대해주셨지만 전 불만이었어요. 왠지 제 자리가 아닌 것 같고, 무엇보다 사람은 지 궁둥이로 덥힌 자리에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거든요. 1989년 다행히 아나운서국으로 돌아올 수 있었죠.” 그는 “아나운서가 기자직 발령이 나면 마치 업그레이드된 것처럼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잘못된 시각”이라고 말했다.

생방송 중 볼펜을 집어던지다

어떤 이의 삶에나 ‘특별한 순간’은 있다. 손석희에게는 일요일이던 1988년 8월21일 저녁 9시가 바로 그 순간이었다. 가슴에 ‘공정방송’이란 글귀가 쓰인 리본을 달고 ‘뉴스데스크’를 진행한 것이다.

서울올림픽을 목전에 두고 사회 분위기가 급변하던 그때, MBC 노조는 정부의 방송관련법 개악에 맞서 쟁위발생 신고를 했다. 방송할 때를 포함해 조합원 모두 가슴에 ‘공정방송’ 리본을 달기로 했다.

8월20일 토요일 오전 9시30분, 조합원은 물론 경영진까지 촉각을 곤두세운 가운데 첫 ‘리본 패용 방송 출연자’가 등장했다. 주부대상 교양 프로그램 리포터로 나선 이장호 이현경 아나운서였다. 다음 생방송 진행자는 ‘낮 뉴스’ 앵커인 김성호 아나운서. 그 또한 방송시작 직전 리본을 달았지만 곧 빼앗기고 말았다. 주말 ‘뉴스데스크’ 진행을 맡고 있던 그는 속이 탔다. 시청자의 시선이 집중되는 프로그램인 만큼 파장도 클 것이 확실했다. 방송 시작 직전까지 갈등하던 그는 ‘기억하는 한 가장 수치스럽고 기회주의적인 행동’을 했다. 리본을 양복 깃이 아닌 안쪽 와이셔츠 주머니 위에 단 것이다.
방송 종료 뒤 누구도 그를 나무라지 않았지만 그는 걷잡을 수 없는 자괴심에 빠졌다. 밤새 한숨도 못잔 그는 다음날 아침 아내에게 다짐하듯 말했다. “오늘은 무슨 일이 있어도 달고 나갈 거야.” 그리고 그렇게 했다.

노조 집행부는 혹 그가 리본을 빼앗기는 일이 생길세라 스튜디오 문을 지키고 고함을 질러댔다. 카메라맨들은 그가 달고 있는 리본이 조금이라도 더 잘 보이도록 열심히 앵글을 잡았다. 이로써 그는 직업인으로서, 또 방송인으로서 양심을 훌륭히 지켜낼 수 있었다.

우여곡절은 있었지만 별 탈 없이 방송활동을 해나가듯 보이던 그가 또 한 번 국민의 뇌리에 깊은 인상을 심는 사건이 생겼다. 1992년 10월 파업투쟁 중 노조 집행부 일원으로 일하다 몇몇 동료와 함께 영등포구치소에 구속수감된 것이다. ‘MBC 간판스타’인 그가 푸른 수의를 입고 수갑과 포승줄에 겹겹이 묶인 모습은 강한 연민과 호기심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했다. 파업 정당성 알리기에 여념이 없던 노조로서는 이 같은 ‘손석희 효과’를 외면할 수 없는 일이었다. 그 또한 이 점을 잘 알고 있었고, 조용히 인정했다.

오히려 그가 걱정한 것은 “한 일도 없는데 무슨 민주 투사라도 되는 양 대접받는 것”이었다. 때문에 그는 이후에도 기회가 있을 때마다 “나야말로 노조활동으로 인해 가장 큰 수혜를 받은 사람”임을 거듭 강조했다. 자신에게 노조활동은 “안 할 수 있는 명분이 없었던 일”일 뿐이라는 것이었다.

혹자는 열성적이었던 노조활동을 들어 그를 이상주의자 혹은 선동가적 기질이 다분한 이로 볼지 모른다. 하지만 그는 오히려 매우 ‘프랙티컬(practical)’한 사람이다. 단적인 예를 들어보자.

그는 “결국 선택의 문제”라는 표현을 자주 쓴다고 했다. “내가 무엇을 어떻게 하건 모두 ‘선택’인 거죠. 실수란 선택을 잘못한 것이고요. 그럼 실수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잘못한 선택이 아니라고 생각해야죠. 전 그래서 제가 간 길에 대해 실수란 표현을 잘 쓰지 않아요. 일종의 자기합리화인데, 제 자신을 평가하는 덴 융통성이 있어야 한다고 보거든요.”

이야말로 실용적 자세다. 이미 지나간 일, 선택해버린 것에 대해 땅을 치고 후회하는 것은 비생산적 방식이다. 그가 “포기가 빠른 사람”이라 말하는 이면엔 아마도 ‘내가 포기한 건 내가 선택하지 않은 것일 뿐’이란 생각이 깔려 있을 것이다. 하여 프랙티컬한 사람들은 과거보다 ‘지금 이 순간’을 생각한다. 구구한 언설보다는 문제해결을 위해 ‘지금 당장 할 일’을 고민한다.

“그러니까 ‘이거 실수다’ 하는 생각이 드는 순간 전력을 다해 만회할 길을 찾는 거지요. 잘한 선택은 그것이 잘한 일임을 증명하기 위해 애쓰고, 나쁜 선택은 또 그게 결과적으론 잘된 선택이었음을 증명하기 위해 노력하는 거고. 이래저래 에너지가 상당히 많이 드는데, 하여튼 전 몇 십년을 그렇게 살아왔어요.”

프랙티컬한 사람들은 의외로 눈 앞의 이익에 연연하지 않는다. 작은 거짓, 사소한 편의 도모가 훗날 치명적 약점이 돼 발목을 잡을 수도 있다는 걸 알기 때문이다. 또한 원칙에 충실한데, 그것이야말로 내적 갈등으로 인한 시간 낭비를 줄이고 직업인으로서 명예와 자존심을 지키는 데 유용한 길임을 확신하기 때문이다. 손석희는 성공한 방송인이길 원했다. 성공한 방송인은 시청자에게 신뢰받는 방송인이다. 신뢰받는 방송인이라면 당연히 공정 방송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그는 그렇게 자신의 소망과 자신에게 부여된 직업인으로서의 소명, 시청자의 바람을 합치시키려는 노력을 통해 나름의 행복을 추구해 온 것인지도 모른다.

시사 프로에 적합한 방송인이 되기 위해 기울여온 프랙티컬한 노력들을 통해, 그는 냉정하고 절제력 강하며 자기관리 뛰어난 언론인의 이미지를 확고히 하게 됐다. 이는 그의 실제 모습과도 크게 다르지 않아 뵀다. 하지만 그는 자신에 대한 세간의 평 가운데 도무지 동의할 수 없는 게 ‘차분하다’ ‘냉정하다’ ‘절제력 있다’는 류의 것들이라고 했다. 인상비평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절 아는 사람들은 그래요. 방송 듣다보면 네 성격 나올까봐 조마조마하다고. 저도 사람이니 인터뷰 도중 성질나는 일이 아주 없을 순 없죠. 지난번엔 너무 화가 나 볼펜을 집어던지기도 했어요.”

때론 방송 중 크고작은 ‘모험’을 시도한다. 방송 종료를 30초쯤 남겨놓고 그가 인터뷰이에게 새로운 질문을 던지면 스튜디오 밖에서는 난리가 난다.
“하지만 제 생각은 ‘방송시간은 금싸라기처럼 쓰자’는 거거든요. 개인적 멘트는 빼고 30분을 기름 쫙 빠진 Q&A(질문과 답)로 꽉 채우자….”

“영향력? 내년엔 밀릴 수 있다”

그의 라디오 인터뷰는 언제나 긴장이 넘친다. 그의 설명대로라면 “말을 잘 못하기 때문에 실수를 피하려 훈련한” 간결한 어조가 그런 분위기를 배가한다. 하지만 단지 그뿐이라면 청취자의 반응이 그처럼 열광적이지는 않을 것이다.

그의 방송은 뜨겁다. 철저히 중립자요 질문하는 자이지만, 그 안엔 ‘상식’을 향한 열정과 ‘이해되지 않는 것들’에 대한 강한 호기심이 있다. 또한 방송시간은 시청자로부터 위임받은 것이란 강력한 동기부여하에, 인터뷰이를 향한 가차없는 질문 공세를 멈추지 않는다. 또 다른 장점은 상대의 얘기를 참 ‘잘 듣는다’는 것. 잘 듣고 핵심을 집어내 한두 마디로 정리해낸다. 내용을 요약하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인터뷰이의 속내와 발언의 논리적 모순까지를 일거에 드러내는 방식이다.

이렇게 그는 가슴 저 깊숙이 ‘불’을 품은 채 방송을 한다. 시청자들은 그 불의 존재를 분명히 느낀다. 언뜻 보면 그의 방송과 이미지엔 개성이 없어 뵌다. 하지만 완벽을 향한 몰두, 좋은 방송에 대한 뚜렷한 소신이야말로 그의 색깔이다.

하지만 그라고 해서 ‘안티’가 없을 순 없다. 그를 비난하는 네티즌들이 가장 자주 사용하는 말이 바로 “과대포장됐다”는 것이다. 그는 “미디어가 인물을 담기 시작하는 그 순간부터 포장은 시작되는 것”이라 맞받아쳤다.

“그런데 전 22년을 미디어에 노출돼 왔어요. 저에 대한 이미지가 어떻게 잡혀 있든, 그것은 제가 노력을 통해 지켜온 것입니다. TV 속 이미지와 ‘현실의 나’ 사이 괴리를 줄이기 위해 애써 온 거죠. 쉬운 일은 아니었어요. 그런 노력이 모두 실패로 돌아갔다면 아마 지금의 전 전혀 다른 삶을 살고 있을 겁니다. 또 하나, 과대포장이란 지적 뒤에는 아마 아나운서직에 대한 편견이 숨어있을 거예요. 준비된 원고를 읽기만 하는 사람이라거나…. 하지만 아나운서들과 하루만 같이 생활해보면 그것이 오해임을 알게 될 겁니다. 아나운서는 저널리즘의 굉장히 다양한 분야를 체험하는 사람들입니다. 폭넓은 실전 경험을 통해 내공이 쌓이지요. 물론 자신의 핵심 이미지는 지켜나가려 노력해야겠지만요.”

그렇다면 그는 직종의 경계를 뛰어넘은 자신의 거대한 영향력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갖고 있을까.
“우선 감사하죠. 제가 맡은 프로가 한밤중에 하는 ‘100분 토론’, 새벽에 하는 ‘시선집중’ 둘인데, 모두 프라임 시간대하고는 거리가 멀잖아요. 그럼에도 좋은 평가를 해주시니 정말 감사하고. 또 이건 겸손의 말이 아니라, 방송이라는 게 저 혼자 할 수 있는 일은 결코 아니거든요.

그렇게 두루 고마운 마음이 반이라면 나머지 반은 굉장한 부담감이예요. 그 ‘영향력’이라는 것이 (방송) 콘텐츠에 어떤 왜곡을 불러오진 않을까, 무슨 오해라도 받지 않을까 늘 걱정되고요. 예를 들어 좀 더 세게 말하고 싶은 부분도 주저하게 되거든요. 그래서 내린 결론이, 감사하긴 하나 얽매이지는 말자는 거예요. 또 내년엔 밀릴 수도 있는 거잖아요. 사실 이런 식의 순위 매기기 자체가 굉장히 상업주의적인 거거든요.”
손석희는 1997~99년 가족을 모두 데리고 미국으로 훌쩍 유학을 떠났다. 마흔 넘어 과감히 현업을 떠나는 ‘대형사고’를 친 것이다.

“1992년 파업으로 구치소에 들어가 있을 때였어요. 그 위로 비행기 길이 나 있는데, 운동시간 20분 동안 뒷마당에 나가 있으면 비행기가 굉장히 낮게 날아와요. 그걸 보며 생각했죠. 여기서 나가면 저 비행기를 타고 어디론가 멀리 가서 살고 싶다…. 그런 꿈을 계속 갖고 있다 마침내 실행에 옮긴 거죠.”

유학 시절의 눈물

처음 목적은 공부도 아니었다. 그저 모든 걸 딱 멈추고 쉬고 싶었다. 회사에서 1년만 갔다 오라는 걸 ‘자비연수 주제에’ 굳이 2년을 고집했다. 쉴 바에야 확실히 쉬자는 결심이었다. “그래놓고 결국 코피 터지며 공부만 하다 왔죠. 뒤늦게 한 국제 민간재단에서 장학금을 받게 된 것이 계기였어요.”
하지만 그에게 강한 동기가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일이다. 그는 토플 공부부터 다시 시작해, 미네소타대 대학원에서 기어이 저널리즘 석사학위를 따고 말았다. 마침 요즘 인터넷에선 그가 유학 생활을 회상하며 쓴 ‘지각 인생’이란 제목의 글이 인기를 끌고 있다. 글 말미는 이렇다.

‘돌이켜보면 그때 나는 무모했다. 하지만 그때 내린 결정이 내게 남겨준 것은 있다. 그 잘난 석사학위? 그것은 종이 한 장으로 남았을 뿐, 그보다 더 큰 것은 따로 있다. 첫 학기 첫 시험 때 시간이 모자라 답안을 완성하지 못한 뒤 연구실 구석으로 돌아와 억울함에 겨워 찔끔 흘렸던 눈물이 그것이다. 중학생이나 흘릴 법한 눈물을 나이 마흔셋에 흘렸던 것은 내가 비록 뒤늦게 선택한 길이었지만 그만큼 절실하게 매달려 있었다는 방증이었기에 내게는 소중하게 남아있는 기억이다. 혹 앞으로도 여전히 지각인생을 살더라도 그런 절실함이 있는 한 후회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MBC의 자유로움은 공영방송 보루”

요즘 그의 맘은 어둡다. 평생을 몸담아 온 직장 MBC가 큰 어려움에 처한 때문이다. 그는 “내가 기억하는 한 MBC가 이처럼 국민의 미움을 받은 적은 없었다”며 “MBC가 쌓아온 역사성마저 한순간에 묻혀버린 것 같아 아쉽다”고 말했다.

그는 MBC의 게이트키핑 기능에 문제가 있었던 것 아니냐는 세간의 지적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게이트키핑이라는 게 여러 층위에서 논의가 가능하거든요. PD·기자·아나운서 등 최일선에서 이루어지는 것부터 그 위의 부장, 국장선까지. 개인 수준의 게이트키핑은 기본적으로 이루어지는거고, 그렇다면 조직 차원의 게이트키핑은 어떠냐는 건데…. 기본적으로 MBC 시스템은 개인을 통제 조정하는 것을 피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지금껏 그것이 굉장한 순기능으로 작용해왔고요.”

그는 “사영방송이라면 대주주, 경영진의 생각이 밑바닥까지 작용할 거다. 하지만 공영방송은 그래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공영방송에서는 모든 논의가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합니다. 그것이 진보건 보수이건 다 담아낼 수 있어야지요. MBC 라디오만 해도 쭉 들어보면 프로마다 방향과 생각이 제각각이거든요. 그런 다양성을 통해 청취자가 스스로 선택할 수 있도록 보장해야지요. 그것이 공영방송의 도리라 생각합니다.”

그는 “(MBC란) 조직 내 다원화가 시청자에겐 좋은 것일 수도 있다”며 “이번 ‘PD수첩’ 파문 역시 역기능의 증거가 될지 순기능적 측면에서 재평가할 수 있을지는 아직 모르는 일”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그는 궁극적으로는 대중을, 네티즌을 믿는다고 했다.

“모두 사필귀정이죠. 가는 길이 바르다면 대중과 영원히 안 맞을 수는 없다고 생각해요. 그런 믿음이 없다면 어떻게 방송을 하겠어요.”

호감도와 신뢰도가 높은 방송인인 만큼, 그에 대한 정치권의 ‘입질’이 시작된 것은 벌써 10여 년 전부터의 일이다. 그 또한 “관심 없다”는 의견 표명을 되풀이한 지 10년이 넘었다.

“전 지금 제가 좋아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방송이 체질에 맞고 그런 면에서 참 운이 좋은 편이라 생각해요. 운 좋은 건 한 번으로 족하지 두 번 그럴 수는 없을 겁니다. 또 일단 그 동네로 가면 굉장히 부지런해야 하고 만나기 싫은 사람도 만나야 하잖아요. 저랑은 영 안 맞지요.”

사실 손석희는 인간관계의 폭이 꽤나 좁은 사람이다. 사교적이지 않은 성격 탓도 있지만, 시사 프로 진행자인 만큼 객관성과 공정성을 견지하기 위해 불필요한 인간관계를 만들지 않겠다는 생각 때문이다. 술도 거의 마시지 않고 골프도 치지 않는다. 이렇다 보니 오랜 친구들과의 관계마저 요즘에 와선 차츰 소원해지고 있다 했다. ‘좋은 시사 프로 진행자’가 되기 위해 그가 지급한 것 중에는 가족과의 곰살궂은 정 나누기도 있다. 그에게는 후배 아나운서이던 아내 신현숙씨와 고등학생, 중학생인 두 아들이 있다.

사람의 집중력이라는 게 한계가 있나 봐요. 새벽 방송에 집중하고 또 일주일에 며칠은 ‘100분 토론’ 준비에 바치다 보니 다른 쪽으로는 영 신경이 안 가는 거죠. 덕분에 사적인 부분에 대한 집중도는 형편없어요.”

뿐인가, 그는 스스로를 ‘강퍅한 인간’이라 표현했다. 일밖에 모르기 때문이란다. “그러다 회사 그만두고 나면 심심해 어쩌려느냐”는 걱정을 미리 해주는 이가 적지 않단다. 그도 이미 오십 고개를 넘어 장년(長年)을 향해 나아가고 있지 않은가.

쉰 나이 받아들일 자존심은 있다

“새벽마다 회사 지하주차장에 차를 세워놓고 사무실로 올라가죠. 복도를 따라 걷다 커브를 돌면 엘리베이터가 나오는데, 매일 똑같은 생각을 해요. 이 커브를 몇 번이나 더 돌 수 있을까….”
해서 “나이 먹는 것이 두렵지 않으냐”고 물었더니 재미있는 답이 돌아왔다. “쉰이란 나이를 받아들일 정도의 자존심은 있다”는 것이었다. “마흔이고 싶고 서른이고 싶지는 않아요. 추해지는 거죠. 제가 원래 포기가 빠르다 그랬잖아요.”

어느새 약속한 2시간이 다 지났다. 아직 채 듣지 못한 것이 많아 적이 답답했다. “어, 목이 또 잠기기 시작하는데요” 하며 ‘겁’을 주는 그가 얄밉게 느껴졌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이, 어쨌거나 다 합쳐 대여섯 시간 열심히 수다를 떨고 나니 첫 대면 땐 보이지 않던 그의 ‘미중년’다운 특징들이 비로소 눈에 들어오기 시작하더라는 것이다. 그가 들으면 불쾌해할지도 모를 일이나, 그에게는 분명 ‘품격 있는 따스함, 권위를 살짝 위반하는 귀여움, 자기만의 개성을 극단으로 밀어붙인 섹시함’ 같은 것이 존재한다. 다만 그가 혼신을 다해 구축하고 유지해 온 방송인으로서의 삶과 이미지가 ‘자연인 손석희’의 열정적이고 감성적인 면모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있을 뿐이었다.

10년 전, 그는 ‘나이 쉰에 나는 무엇을 보여줄까’란 글을 쓴 적이 있다. 그 글에서 손석희는 20일 남짓한 영등포구치소 생활 중 만난 ㄱ씨 이야기를 하며 ‘그가 출감할 때인 10년 후, 나는 그에게 무엇을 보여줄 것인가’를 자문하고 있다. 아마도 그는 답을 찾은 듯하다. 그는 ‘꼰대’도 되지 않았고 ‘배불뚝이’도 되지 않았다. 대신 미소년보다 되기 어렵다는 ‘미중년’이 됐다. 그것으로 충분하지 않은가.

이만익


초동





달꽃




아가




동자보살




주몽 양마도

2000년 성낙주 선생님과 함께 가나아트센터에 전시회를 가서 처음 접하게 되었다. 그 때 구입한 작은 그림들, 주위 친구들이 결혼하거나 집에 놀러 오면 선물로 주곤 했다.

The Town Hall Mob

http://www.nytimes.com/2009/08/07/opinion/07krugman.html?_r=1&ref=opinion

By Paul Krugman, Published: August 6, 2009


There’s a famous Norman Rockwell painting titled “Freedom of Speech,” depicting an idealized American town meeting. The painting, part of a series illustrating F.D.R.’s “Four Freedoms,” shows an ordinary citizen expressing an unpopular opinion. His neighbors obviously don’t like what he’s saying, but they’re letting him speak his mind.

That’s a far cry from what has been happening at recent town halls, where angry protesters — some of them, with no apparent sense of irony, shouting “This is America!” — have been drowning out, and in some cases threatening, members of Congress trying to talk about health reform.

Some commentators have tried to play down the mob aspect of these scenes, likening the campaign against health reform to the campaign against Social Security privatization back in 2005. But there’s no comparison. I’ve gone through many news reports from 2005, and while anti-privatization activists were sometimes raucous and rude, I can’t find any examples of congressmen shouted down, congressmen hanged in effigy, congressmen surrounded and followed by taunting crowds.

And I can’t find any counterpart to the death threats at least one congressman has received.

So this is something new and ugly. What’s behind it?

Robert Gibbs, the White House press secretary, has compared the scenes at health care town halls to the “Brooks Brothers riot” in 2000 — the demonstration that disrupted the vote count in Miami and arguably helped send George W. Bush to the White House. Portrayed at the time as local protesters, many of the rioters were actually G.O.P. staffers flown in from Washington.

But Mr. Gibbs is probably only half right. Yes, well-heeled (having plenty of money) interest groups are helping to organize the town hall mobs. Key organizers include two Astroturf (fake grass-roots) organizations: FreedomWorks, run by the former House majority leader Dick Armey, and a new organization called Conservatives for Patients’ Rights.

The latter group, by the way, is run by Rick Scott, the former head of Columbia/HCA, a for-profit hospital chain. Mr. Scott was forced out of that job amid a fraud investigation; the company eventually pleaded guilty to charges of overbilling state and federal health plans, paying $1.7 billion — yes, that’s “billion” — in fines. You can’t make this stuff up.

But while the organizers are as crass as they come, I haven’t seen any evidence that the people disrupting those town halls are Florida-style rent-a-mobs. For the most part, the protesters appear to be genuinely angry. The question is, what are they angry about?

There was a telling incident at a town hall held by Representative Gene Green, D-Tex. An activist turned to his fellow attendees and asked if they “oppose any form of socialized or government-run health care.” Nearly all did. Then Representative Green asked how many of those present were on Medicare. Almost half raised their hands.

Now, people who don’t know that Medicare is a government program probably aren’t reacting to what President Obama is actually proposing. They may believe some of the disinformation opponents of health care reform are spreading, like the claim that the Obama plan will lead to euthanasia for the elderly. (That particular claim is coming straight from House Republican leaders.) But they’re probably reacting less to what Mr. Obama is doing, or even to what they’ve heard about what he’s doing, than to who he is.

That is,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town hall mobs is probably the same cultural and racial anxiety that’s behind the “birther” movement, which denies Mr. Obama’s citizenship. Senator Dick Durbin has suggested that the birthers and the health care protesters are one and the same; we don’t know how many of the protesters are birthers, but it wouldn’t be surprising if it’s a substantial fraction.

And cynical political operators are exploiting that anxiety to further the economic interests of their backers.


Does this sound familiar? It should: it’s a strategy that has played a central role in American politics ever since Richard Nixon realized that he could advance Republican fortunes by appealing to the racial fears of working-class whites. 
Many people hoped that last year’s election would mark the end of the “angry white voter” era in America. Indeed, voters who can be swayed by appeals to cultural and racial fear are a declining share of the electorate.

But right now Mr. Obama’s backers seem to lack all conviction, perhaps because the prosaic reality of his administration isn’t living up to their dreams of transformation. Meanwhile, the angry right is filled with a passionate intensity.

And if Mr. Obama can’t recapture some of the passion of 2008, can’t inspire his supporters to stand up and be heard, health care reform may well fail.

The Shaky Economics Of 'Cash For Clunkers'

http://www.npr.org/templates/story/story.php?storyId=111617646

by David Kestenbaum, August 6, 2009

Congress seems poised to extend the wildly popular "cash for clunkers" program, tripling the size of its initial $1 billion budget. But ask some economists about the program, and they shake their heads.

Allen Sanderson, an economist at the University of Chicago, says it's important to remember what's behind many auto dealers' crowded showrooms. Out back, he says, you'll likely find a parking lot filled with the cars that have been traded in. Many of those vehicles run fine. And they all are scheduled for execution.

The government trade-in program requires that the engines of the clunkers be killed. More accustomed to fixing cars, mechanics will pour in a solvent called "liquid glass," then run the engine until it seizes.

From an economic perspective, that's a waste, says Sanderson, who calls the program "silly." The autos required labor and resources to build. Consider a similar program to replace old light bulbs with more efficient ones, he says. Would you smash the old bulbs?

Sanderson admits that there is some environmental benefit to the clunkers program. "The question is at what cost," he says. "For $3 billion, could we do something better for the environment than what we're doing? I think absolutely. It's a very inefficient expenditure."

Stimulus Or Hype?

What about the argument that "cash for clunkers" provides a boost for the auto industry? Rep. Edward Markey (D-MA) recently called the program "electroshock therapy for the economy." Rep. John Campbell (R-CA) declared, "Plants will open up, they will be producing more cars, and people will go back to work."

Jeremy Anwyl, the CEO of the car research site
Edmunds.com, isn't so sure. Anwyl says that even without the program, people trade in about 60,000 clunkers a month. While "cash for clunkers" has encouraged more people to trade in their vehicles, Anwyl argues that most of them would have come in sooner or later anyway.

"It encouraged anyone that had a clunker that would have traded in their vehicle over a three- or four-month period to do so over three or four days," he says. "So, at the end of this you have to wonder how many additional sales were actually created."

Anwyl says he feels bad about criticizing the program. "Hey, I'm as happy as anybody to see car sales go up," he says. After looking at the data, he calls it "one of the more over-hyped programs in an era of over-hyping programs." (진작시키는 프로그램들이 많은 가운데 이미 진작된 프로그램?)

The German Experience

The U.S. is not the only country trying out the "cash for clunkers" idea. Germany has a much larger program, at $7 billion.

Stefan Schneider, chief international economist at Deutsche Bank Research in Germany, supports his country's effort. He argues that encouraging people to trade in cars now instead of later makes sense, because the economy needs a boost to get it going again. Schneider sees evidence that the $7 billion the government is spending on incentives has boosted spending.

"In the first quarter, private consumption picked up a bit," he says. "If you look at other indicators, retail sales, it's pretty evident that's mainly coming from the car program."

Schneider says there is concern that when the program ends, the bump in car sales will turn into a dip of about the same size. But the hope is that the economy will have recovered a bit, and the fall won't be so painful.

In the grand scheme of the global economy, the American and German programs combined don't count for much. James Galbraith, an economist at the University of Texas, says he's surprised the American "cash for clunkers" initiative has generated so much controversy. It's hard to devise a perfect program he says, and this one is merely "inoffensively ineffici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