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ward a North Korea Reading List


Toward a North Korea Reading List
By JOHN WILLIAMS,  December 19, 2011, 5:54 PM

The world scanned Wednesday’s closely guarded funeral for the North Korean leader Kim Jong-il, seeking more clues about the politics of the most closed society on earth. But readers looking for insight into North Korea have better options.

The most acclaimed recent book on the country is “Nothing to Envy: Ordinary Lives in North Korea” by Barbara Demick, a foreign correspondent for The Los Angeles Times. It was a finalist for the 2010 National Book Award and took home the Samuel Johnson Prize in Britain.

In his review of the book in The New York Times, Dwight Garner wrote: “Ms. Demick’s book is a lovely work of narrative nonfiction, one that follows the lives of six ordinary North Koreans, including a female doctor, a pair of star-crossed lovers, a factory worker and an orphan. It’s a book that offers extensive evidence of the author’s deep knowledge of this country while keeping its sights firmly on individual stories and human details.”

In the same review, he considered “The Hidden People of North Korea: Everyday Life in the Hermit Kingdom” by Ralph Hassig and Kongdan Oh, saying it was “wonkier than Ms. Demick’s and less reader friendly, but it covers more ground.” He wrote that the book, based on more than 200 interviews with defectors, “paints a picture of a restless populace, increasingly dubious about the official propaganda.”

Bradley K. Martin’s “Under the Loving Care of the Fatherly Leader: North Korea and the Kim Dynasty,” published in 2004, draws on extensive reporting in North Korea to portray the country and the father-son dictator team of Kim Il-sung and Kim Jong-il. Writing in The New York Review of Books the New York Times columnist Nicholas Kristof said it was “simply the best book ever written” about North Korea. “Relying largely on extensive interviews with defectors,” Mr. Kristof wrote, “Martin portrays North Korean life with a clarity that is stunning, and he captures the paradoxes in North Korean public opinion.”

If you’re seeking strong opinions, you might start with Bruce Cumings, a scholar of North Korea who teaches at the University of Chicago. Jacob Heilbrunn called Mr. Cumings “a gifted controversialist” whose “insights are undermined by his penchant for offering excuses about the nature of the North Korean regime.” In a 1997 review in The New York Times of Mr. Cumings’s “Korea’s Place in the Sun” Mr. Kristof wrote, “In reading this book, I had the odd sensation of disagreeing with much of it while also finding it enormously engaging.”

B. R. Myers, most famous in literary circles for his polemical attacks on the prose styles of contemporary American novelists, has taught in South Korea and has written frequently about North Korea. He has offered a full-throated critique (his only kind?) of Mr. Cumings, and published a book in 2010 titled“The Cleanest Race: How North Koreans See Themselves and Why It Matters,” about which Mr. Garner wrote that Mr. Myers “is a crisp, pushy writer who is at his best when on the attack, and his often counterintuitive new book attempts a psychological profile of Kim Jong-il and his regime.”

His review said, “Mr. Myers has pored through mountains of North Korean propaganda — from nightly news reports and newspapers to war movies, comics, wall posters and dictionaries — and he argues that the West is misreading the country’s core beliefs.” Mr. Myers’s North Korea, Mr. Garner wrote, “is guided by a ‘paranoid, race-based nationalism.’ ”

The most rare and therefore most riveting books might be insider accounts of living in the country, like “The Aquariums of Pyongyang” by the defector Kang Chol-hwan. President George W. Bush praised that book and met with its author, and Christopher Hitchens, in a piece for Slate, wrote that it “ought to be much more famous than it is.” He continued, “Given what everyday life in North Korea is like, I don’t have sufficient imagination to guess what life in its prison system must be, but this book gives one a hint.” In“Long Road Home” Kim Yong details his six years in a North Korean labor camp. Hyok Kang’s memoir “This Is Paradise!” recounts his childhood in North Korea before he and his family escaped to China when he was 13. In a piece for The Telegraph of London, Mr. Kang began: “I was 9 when I saw my first execution.”

If first-person accounts are too harrowing, perhaps viewing the country through the lens of fiction would help. Mr. Kristof has recommended the Inspector O series of novels, which are set in Pyongyang and were written by an American intelligence expert on North Korea who uses the pseudonym James Church. The novels “beautifully capture the attitudes of the North Korean officials I’ve met,” Mr. Kristof wrote. In January the novelist Adam Johnson will publish “The Orphan Master’s Son,” about a young man in North Korea who becomes complicit in the state’s crimes and falls in love with an actress. Mr. Johnson has described the book as “a sort of North Korean ‘Casablanca.’ ”
But for readers most interested in hearing from the horse’s mouth, Kim Jong-il left behind several books of his own, including “Life and Literature,” in which he argued, “Literature must show people as they are.”

Sellers on Amazon have copies available of Mr. Kim’s “On the Art of the Cinema” and “On the Art of the Opera.” The cheapest used copy of the cinema book is $128.45 (plus $3.99 shipping)

서울대 ‘민주화의 길’을 함께 걷기 - 한인섭 교수


서울대 ‘민주화의 길’을 함께 걷기 - 한인섭 교수
[교수칼럼]서울대학교 홍보팀2009-10-14

학생 여러분 반갑습니다. 오늘 같이 교정을 거닐면서 서울대 이야기를 할까 합니다. 우리 대학도 60년이 넘었고, 관악캠퍼스가 자리잡은 지도 35년을 헤아리니, 이야깃거리도 풍성합니다. 캠퍼스의 여기저기에 우리 현대사가 숨어 있거든요. 이제 서울대가 민주화에 어떻게 기여했던가에 초점을 맞추어 안내역을 하려 합니다.

요즘 캠퍼스, 무척 평화롭지요. 20여 년 전의 캠퍼스 풍경은 너무도 달랐습니다. 최루탄 안개가 자욱하고, 경찰이 교내로 들어와 학생을 잡아가곤 했습니다. 언제부터 경찰이 진입하지 않게 되었을까요? 1987년부터입니다. 그 해 무슨 일이 있었나요? 바로 6월민주항쟁이라고 하는, 군사독재를 끝장내자는 국민항쟁이 폭발했던 해입니다.

그 항쟁은 서울대와 직결됩니다. 언어학과 박종철 학생이 경찰의 대공분실에 끌려가, 물고문당하고 질식사했습니다. 경찰의 발표에 따르면, 수사관이 책상을 “탁 치니 억 하고 죽었다”는 것입니다. 죽음도 억울한데, 진상을 저토록 은폐하는 모습에 격분한 국민들이 저 정권은 도저히 용납할 수 없는 정권이니 몰아내야 한다고 싸웠습니다. 6월민주항쟁을 압축하는 구호가 “고문없는 세상에 살고 싶다”는 것입니다. 박종철 사건은 바로 6월항쟁의 도화선이 되었습니다. 그 박종철의 기념비는 2기가 조성되어 있습니다.
박군의 사건이 민주화의 전환점이었다면, 그 출발점은 무엇일까요? 바로 1960 4·19혁명입니다.

이승만 초대대통령은 대통령 중임제한의 철폐와 부정선거를 통한 영구집권을 획책했습니다. 그에 대한 반대투쟁은 그 해 3·15 마산에서 시작되어, 4 19일에 전국적 규모의 학생-시민 봉기로 폭발합니다. 서울대가 종로에 있을 때입니다. 동숭동에서 출발해 광화문 네거리까지 학생들이 진출하여 독재정권 타도를 외쳤습니다. 이어 대통령관저인 경무대까지 진출하자 경찰은 조준 발포를 했습니다. 200명 가까운 시민들이 희생되었는데, 그 중 서울대 학생들이 6명이었습니다.

4·19가 민권의 승리로 끝난 뒤, 각 단과대학에서는 쓰러진 학우를 기리는 추모비를 세웠습니다. 캠퍼스가 관악으로 이전하면서 4·19기념탑도 함께 왔습니다. 이전할 때(1975)는 유신독재가 한창일 때라, 4·19탑을 교정 구석에, 즉 지금의 신공학관 근처에 방치하듯 두었습니다. 그 탑이 현재의 위치, 정문쪽 언덕으로 옮겨진 것은 2002년 이후였고, 이제는 학교 차원에서 추모식을 갖습니다. 4·19탑의 위치가 민주화의 바로미터인 셈이지요.

4·19탑을 위시하여 민주제단에 헌신한 동문들을 기리는 기념물들이 여기저기 있습니다. 모두 16기 정도 되고, 죽 돌아보는데 2시간 정도 걸립니다. 두어 개만 소개해볼까요.

농생대 옆에 <김상진 추모비>가 있습니다. 김상진 선배는 유신독재 시절에 <양심선언>을 발표하고 할복자살을 통해 항거했습니다. 그 때는 겨울공화국이라 불리는 살벌한 시절인지라, 저항도 극단의 형태를 띠었던 것이지요. 그 양심선언은 엄청난 반향을 불러일으켰습니다. 그 양심선언의 전문을 동판에 새겨 놓았네요. “학우여! 아는가! 민주주의는 지식의 산물이 아니라 투쟁의 결과라는 것을. 우리는 어제를 통탄하기 전에···일당독재의 아성을 향해 불퇴진의 결의로 진격하자”는 내용을 포함해서요.

돌이켜보니 서울대는 민주투사의 요람이기도 했습니다. 30여 년간의 민주화운동과 관련하여 제명된 학생이 무려 730(그 중 대다수는 구속), 무기정학 681, 유기정학 496명입니다. 다른 대학들의 징계 전체를 합한 숫자와 거의 맞먹는 것입니다.

하지만 모두가 투사가 될 수는 없는 일 아니겠어요? 한번 데모하면 학사제명에다 징역 3년이 최소한인데요. 당시 학생들은 대학 다닌다는 것 자체로 대단한 심적 고통을 겪었습니다. 험한 세상 아프게 겪다가 도저히 견딜 수 없어 세상을 떠난 이도 있습니다. 국문학과 박혜정 학우가 그랬습니다. 그가 남긴 유서에는 “반성하지 않는 삶, 아파하면서 살아갈 용기가 없는 삶, 이 땅의 불의와 억눌림을 방관하는 삶. 부끄럽게 죽을 것”이라고 하면서도 “자살로 도피해버린다고 욕하라. 욕하고 잊어달라”고 했습니다. 이렇게 여린 감수성으로 아픈 시대를 드러내었기에 오히려 잊을 길 없던 동료들이 조그만 추모비를 세웠습니다.

학내의 기념물들은 각기 사연을 갖고 있습니다. 조그만 정성이 모여 하나하나를 조성한 것이지요. 어떤 것은 슬픔으로, 어떤 것은 분노로 차 있습니다. 공통적인 것은, 이들의 헌신을 잊지 말고 기억하자는 염원을 담고 있다는 점입니다.

과거의 경험은 현재의 기억을 통해서만 미래를 비추는 거울이 됩니다. 이런 취지에서 민주화 기념물들을 순례하는 ‘서울대 민주화의 길’을 조성할 예정입니다. 이 길을 따라 걸으면서 우리 민주주의가 어떻게 가능했던가 생각해보고, 서울대생이 된다는 것이 어떤 역사적 무게를 이어받고 있는가도 느껴보기 바랍니다.

4·19탑에 새겨진 한 구절로 오늘 안내를 마치겠습니다. “상아탑은 진리의 탐구자요 정의의 수호자다.